최근 열흘쯤 일본 애니메이션 [진격의 겨인]을 몰아 보다 보니, 책을 뒤로 미뤄 두었습니다. [진격의 거인]은 완결된 작품으로 91편입니다. 회당 약 20여분 분량이라 그리 길지 않지만, 워낙 많다 보니 보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습니다. 이렇게 오랜 기간 책을 읽지 않은 건 오랜만인 것 같네요.

[나는 왜 산티아고로 도망 갔을까]
이해솔 에세이, 이타북스, 2023년 7월, 볼륨 238쪽.
이해솔님은 산티아고 순례길을 2014년과 2019년 여름, 두 번을 다녀오신 분입니다. 나이는 30대 후반쯤. 대학원에 진학해 유학을 꿈꾸던 본인과, 대기업에 취업해 경제적 독립을 이루라는 아버지와의 갈등으로, 대학 졸업반때 휴학을 하고 첫번째 순례를 다녀왔습니다. 본인의 바램대로 대학원에 진학해 공부하던중 아버님께서 쓰러지셨고, 3년간의 긴 투병 시간을 거쳐 돌아가신 후,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2019년 6월에 두번째 순례길에 오릅니다. 책은 이 두번째 여행 기록입니다.
2019년 6월 9일부터 7월 10일까지, 생장 피에 드 포르에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까지 800킬로의 길을 31日 동안, 일자별로 걸은 거리, 만난 사람들, 고민하고 사색했던 흔적들이 오롯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순례 첫 날부터 피레네 산맥을 오르다 폭풍우를 만나고, 오버페이스를 해 생고생을 한 사연부터, 무릎이 아파 중도에 걷기를 포기할뻔한 사연, 배낭을 배송업체에 위탁했다 두 번이나 제대로 도착하지 않아 갈아입을 옷이 없어 고생한 이야기, 그럼에도 ‘인생 새옹지마’라고 위기상황에서도 도움의 손길을 내주는 선한 사람들을 만난 이야기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물론 인종차별을 경험하기도 하고요.
“순례자란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는 사람”이라 작가님은 정의하는데요. “순례자는 어떠한 자격도 요구하지 않는다. 실행력만 있다면 누구나 산티아고 순례자가 될 수 있다. 길 위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며 스스로 삶의 전환점을 만들어 낼 힘이 있다고 믿는다”(10쪽 프롤로그) 하시네요.
한 달 전쯤인 작년 성탄절에 방멘님의 [산티아고 순례길의 모든 순간](2023.06)이라는 포토 에세이를 읽었었는데요. 산티아고 순례길은 누군가에겐 인생 동안 한 번쯤은 꼭 걸어보고 싶은 버킷 리스트에 올라 있는듯 합니다. 저 역시 관련 책을 읽고나서 내후년쯤엔 정년퇴직하는 선배님과 함께 걸어보기로 약속한 상태거든요.
“용기라는 건 거창한 게 아니라, 매일의 삶을 충실히 살아내는 것”(123쪽).
“당연하게 생각하던 것들이 사실은 욕심이였다”(134쪽)는 깨달음을 작가분께선 순례길을 통해 얻어 오신듯 합니다.
책의 뒷부분엔 순례길을 다녀온 분들의 인터뷰가 실려 있습니다. 암 투병중임에도 순례길에서 느낀 가치를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산티아고 가는 길’이라는 까페를 제주에서 운영하시는 분, 부부순례자로 서촌에서 ‘까페 알베르게’라는 컨셉트 까페를 운영하시는 분, 결혼전 신혼여행 겸해 부부가 다녀오신 분의 이야기가 부록처럼(아님 덤 처럼) 실려 있습니다. 이 분들 공통적으로 하시는 말씀은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주저하면 절대 못 가는 곳이다.”
“가볍게 가라. 짐의 무게도 그렇고, 마음도 그렇고.” 두 문장으로 요약됩니다. 800킬로의 길을, 30여일이 넘게 두 다리만으로 걷는 다는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잖아요. 먼 길을 떠날 때는 짐을 줄여야 한다는 말에 적극 동감합니다.
작가님은 두번째 길을 걷고 돌아오신 후, 공인노무사 시험 준비를 하다 자신이 뜻했던 바는 아니지만 작가로서의 인생을 살고 있습니다. 작가로서의 산출물이 바로 이 책이고요. 프로스트의 詩 <가지 않는 길>처럼, ‘오프 로드’가 아닌 ‘온 로드(작가로의 길)’를 맞이했다고 합니다. 가보지 않은 길을 가다 보면 또 다른 길이 펼쳐지는게 인생이니까요.
사족입니다만 書名에 적힌 ‘도망’이라는 단어는 왠지 어울리지 않아 보입니다.
저에게도 그렇지만, 작가님 의도대로 가보길 희망하는 많은 분들에게 산티아고 순례길로 부르는 초대장이 아닐까요?
Shall we walk?
올해 4번째 책읽기
#산티아고 #이해솔 #나는왜산티아고로도망갔을까 #순례 #독후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