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력의 배신. 김영훈교수.

by 짱구와짱아아빠 2023. 11. 4.

이번주 일이 좀 많았습니다.
화요일 밤엔 수술받은 멍멍이 세짱이 퇴원시키고.
수요일엔 친한동생이랑 번개모임, 목,금요일엔 부모님 제사 모시러 용인 광교산 자락에 위치한 절에 다녀왔거든요.
오늘은 친구 이비인후과 병원에 우리 가족 세명 총출동해 A형독감 예방주사를 맞았구요.  매년 이맘때면 친구인 원장님 찬스를 사용하는데, 병원에 환자가 가득해 그나마 덜 미안하네요ㅋㅋ

세짱이는 잘 회복중입니다. 매일 수술부위 드레싱하고 약 먹이고, 봉합술한 오른쪽 눈에 하루 네 번씩 안약 넣어주면서 잘 캐어중입니다. 다음주 실밥 풀러 가기전 까진 운동금지 처방도 받아, 짱구만 산책시켰더니, 좀 삐진듯하네요.




[노력의 배신].
김영훈, 21세기북스, 2023년7월, 볼륨289쪽.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님입니다. 학사부터 미국에서 공부했고 2012년 연세대로 부임하셨네요.

노력하면 안되는 게 없고, 성취하지 못한건 최선의 노력을 죽을만큼 하지 않은 개인탓이라 믿는 '노력 맹신 공화국' 대한민국의 '노력 신드롬'이 허구이자 환상임을 하나하나 연구결과를 통해 입증하고 있습니다.

그간 말콤 글래드웰의 글로 인해 일반화되었던 '일만 시간의 법칙', 앤젤라 더크워스교수의 '그릿(끈질긴 노력과 열정)'을 통해, 누구나가 노력을 하고, 포기하지 않는게 성공의 열쇠라 믿어 왔잖아요. 그런데 성공의 조건이 노력만이 아닌, '재능과 운', '특별한 환경' 등 으로 결정됨을 밝히고 있습니다. 노력이 성공의 주요인이 아니라, 진정한 주요인은 타고난 능력과 재능이라는 거죠.

뛰어난 재능과 능력을 갖추고 태어나면 탁월한 실력을 얻기 위해 엄청난 훈련과 노력을 그다지 하지 않아도 된다는데요. 한마디로 재능이 노력을 이긴다는 주장입니다. 놀라우신가요?

노력과 훈련이 성공에 기여한 퍼센테이지를 규명해보니 게임분야는 26프로, 음악분야는 21프로, 스포츠분야는 18프로 임에 반해, 학업과 관련된 분야에선 고작 4프로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데이터도 보여주시구요.
오히려 재능이 많은 비율을 차지할거라 예상했던 예능이나 스포츠분야보다 학업에서의 노력상관율이 고작 4프로라니 깜짝 놀랐습니다.
제가 수학을 못한게 노력이 부족해서보다는 수학적 자질과 능력이 없음에 기인한걸 확인하게 된 순간이였습니다 ㅎㅎ 스스로에 대한 면죄부.

똑똑한 학생이 공부를 잘하는 이유는 열심히 공부해서나 아니고 그냥 똑똑해서 잘한다.
더불어 날씬한 사람들은 운동으로 날씬해 진 것이 아니라 그냥 운동을 좋아하는 것일뿐 체질적으로 날씬하게 태어난 것이기에, 타고난 체질과 유전적 특질들을 인간의 노력으로 바꾸는건 거의 불가능하다 설명하십니다.

기회와 환경이 없으면 재능도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며, 공정한 운동장이 되기위해선 마이클 샌델 교수님이 [공정하다는 착각]에서 주장한 추첨제 대학입학 방법에 동의하시구요. 이러한 주장은 제가 지금 읽고있는 홍콩과기대 경제정책학과 교수이신 김현철교수님의 [경제학이 필요한 시간] 에서도 같은 의견을 표방하고 계시네요.

노력신봉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누구나 실패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최선의 노력으로도 실패했다면 과감히 포기를 선택하는 용기가 필요함을 말씀하십니다. 이 부분은 한양대 교육공학과 유영만교수님의 최근 책 [끈기 보다 끊기]와 일맥상통하구요.

김영훈교수는 책 말미에 오해방지를 위한 당부겸 제안을 하고 있는데요. 이 책이 노력하지말고 대충대충 살라는 이야기는 절대 아니라며, 반대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라 당부하십니다. 왜냐하면 내가 최선의 노력을 다해보지 않고서는 관련된 일에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그래서 직접 시도해보고, 부딪혀보고, 경험해 보되, 대신 어느 시점에선 안되는건 포기해야 새로운 희망의 길이 열린다고, 포기하지 않고는 절대 다른 문이 열리지 않는다고 당부하십니다.

밑줄치고 옮겨 적으며 몰입해 읽은 책입니다.
저역시 그동안 노력을 신봉하며 살아왔었구요. 알고 있는 것과 모르고 하는 것은 차이가 있겠죠?
수험생을 둔 학부모님, 취업준비중이신 분들께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올해 104번째 읽은책

#독서기록 #김영훈 #노력의배신
#노력신봉공화국 #그릿 #일만시간의법칙
#공정하다는착각 #끈기보다끊기
#경제학이필요한시간 #노력이성공의주원인이아냐